그래플 | 2월13일 LME 시세 분석 고철 시세 10원 인상 동시세 100원 인상 알루미늄시세 니켈시세
- grapplekr
- 2월 13일
- 2분 분량
비철금속 LME 시세 전망
비철금속 LME 시세는 미국 CPI 예상치 상회로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로 인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과 철강, 비철금속 관세로 인한 공급 문제와 수요 감소 우려로 전반적으로 하락세였습니다.
구리 LME 시세 전망
2월 11일 구리 LME 시세는 +1.03% 상승한 $9,454로 마감했습니다.
구리 LME 시세 상승 이유 3가지
1. 부족한 정광 공급 우려로 상승했습니다. 현재 구리 제련소 TC/RC는 마이너스까지 내려간 상황이며, 중국 제련소는 2025년 중남미 광산과의 TC/RC 협상에서 역대 최저 수준인 $20로 확인되었고 2024년 $80과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됩니다. 정광 공급 부족, 제련소 확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신규 구리 제련소에 대한 규제를 발표했습니다.
2. 중국 정부가 부동산 개발사 완커에 10조 원 규모의 구제 금융을 발표할 것이라는 내용으로 구리 LME 시세는 상승했습니다.
3. 트럼프 비철금속 관세 우려로, 미국 내 구리 재고 확보를 서두르면서 Comex 구리 가격이 상승해 구리 LME 시세 상승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런던 LME 구리 재고가 미국 Comex 재고로 이동하면서 구리 재고는 +14% 증가했습니다.
현재 구리 LME 시세는 -0.03% 하락 중이며, 어제 큰 상승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구리 스크랩 가격 전망
2월 10일 +200원 인상에 이어 2월 12일, 미국 내 구리 공급 부족 우려로 Comex 구리 가격이 상승하고 중국 정부의 부양책 실행으로 인한 상승분이 반영되어 동시세는 +100원 인상되었습니다. 미국 Comex 구리의 단기적 상승 유지와 중국 부양책으로 인한 구리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국내 동스크랩도 상승 여력이 더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루미늄 LME 시세 전망
알루미늄 LME 시세는 -0.87% 하락한 $2,621로 마감했습니다.
알루미늄 LME 시세는 하락 이유 2가지
1. 중국 알루미나 가격의 지속적 하락세로 인해 알루미늄 가격이 하락하며 알루미늄 LME 시세도 하락했습니다. 중국 알루미늄 재고는 쌓이고 있지만, 알루미늄 판/시트, 스트립 및 호일, 2차 합금 및 압출 기업의 가동률은 모두 증가했으며, 특히 자동차 압출 최상위 기업의 경우 작업 재개를 가속화하여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2. 트럼프 알루미늄 25% 관세가 협상용일지 아니면 실제 한 달 뒤에 시행될지에 대한 불안감에 알루미늄 LME 시세는 하락했습니다.
3. 중국 1월 자동차 판매가 저년 대비 12.1% 감소하면서 알루미늄 LME 시세는 하락했습니다,
현재 알루미늄은 +0.15% 상승 중이며 $2,620에서 지지를 받을 것이며 트럼프 관세 시행 여부를 지켜보며 횡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루미늄 스크랩 가격 전망
알루미늄 25% 관세가 시행 또는 협상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으로 알루미늄 스크랩 가격도 횡보하는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니켈 LME 시세 전망
니켈 LME 시세는 -0.76% 하락해 $15,420로 마감했습니다.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 기업 PT Aneka Tambang의 2024년 니켈 생산이 전년 대비 25% 감소하면서 인도네시아 정부의 니켈 공급 축소 기조가 유지되고 있지만, 중국의 정련 니켈 수출이 작년 대비 235% 증가해 니켈 과잉 공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니켈 LME 시세는 -0.10% 하락 중이며 $15,400 이탈 시 $15,200까지 하락할 수 있지만, 니켈 LME 시세는 박스권 $15,200 - $16,100에서 횡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텐 스크랩 가격 전망
중국의 스텐인리스 스틸 수요는 설 연휴 이후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출하 실적이 부진하지만, 활발한 구매 문의로 인해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생기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스텐 스크랩 가격은 횡보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철 시세 전망
고철 시세는 경인, 충청, 영남권에서 인상 추세이며, 현대 제철은 인천과 당진 공장에 13일부터 톤당 1만 원 인상하며 인상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인상 흐름으로 봤을 때 고철 시세 전망은 2가지로 예상됩니다.
1. 단기적 추가 인상
겨울철 공급 부족에 따른 필수 재고 확보 경쟁이 지속될 경우, 고철 시세는 현대제철의 인상 효과에 추가해 단기적으로 1.5~2%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중장기적 인하 시작
주요 수요처들이 재고 확보를 마무리하고 시장에서의 구매 경쟁이 완화되면, 인상분 조정과 함께 1~2% 하락 압력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 겨울철 재고 확보 후 공급 과잉이 나타났던 사례를 보면, 고철 시세가 약 1~2% 하락한 경험이 있으며, 이는 주요 수요처들의 구매 부담 완화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