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그래플 | 2월14일 고철시세 LME 시세 동시세 알루미늄시세 니켈시세 | 트럼프 관세 분석

  • 작성자 사진: grapplekr
    grapplekr
  • 2월 14일
  • 2분 분량



비철금속 LME 시세 전망


비철금속 LME 시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를 즉시 시행하기 않고, 4월 1일까지 협상을 통해 검토 후 시행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무역 전쟁 불안감이 축소되면서 비철금속 LME 시세는 상승했습니다.




구리 LME 시세 전망


2월 13일 구리 LME 시세는 +0.32% 상승한 $9,485로 마감했습니다.


구리 LME 시세는 미국이 알루미늄에 이어 구리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불안감에 미국 Comex 구리 가격이 상승하면서 구리 LME 시세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미국 구리 수입은 약 38%로, 공급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있으며 현재 구리 가격의 급등의 투기적인 성향이 강한 급등 현상으로 분석됩니다.


현재 구리 LME 시세는 +1.44% 하락 중이며, $9,800까지 단기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구리 LME 시세 그래프
구리 LME 시세 그래프


구리 스크랩 가격 전망


동시세는 2월 10일 +200원 인상, 2월 12일 +100원 인상에 이어 2월 13일 +100원 인상되었습니다. 투기 세력이 관세를 재료로 미국 Comex 구리 가격을 끌어올리면서 국내 동시세도 200-300원 추가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시세 전망
동시세 전망


알루미늄 LME 시세 전망


알루미늄 LME 시세는 -0.67% 하락한 $2,603로 마감했습니다.


알루미늄 LME 시세는 미국 수입 알루미늄 25% 관세로 인해 글로벌 알루미늄 공급망 문제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호주 광산업체 South32사의 CEO는 미국이 알루미늄 수입이 82%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트럼프 관세는 장기 시행이 아니라 협상 전략이라고 분석되지만, 얼마나 지속될지가 문제라고 발언했습니다.


현재 알루미늄은 트럼프의 상호관세 유예로 +1.42% 상승 중이며 박스권 상단인 $2,670 돌파 시도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루미늄 LME 시세 그래프
알루미늄 LME 시세 그래프


알루미늄 스크랩 가격 전망


알루미늄 25% 관세 유예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국내 알루미늄 스크랩 가격 상승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루미늄 스크랩 시세 전망
알루미늄 스크랩 시세 전망



니켈 LME 시세 전망


니켈 LME 시세는 -0.30% 하락해 $15,374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철강 25% 관세 영향으로 지속적이로 하락 추세이지만 트럼프의 상호관세 유예 소식으로 니켈 LME 시세는 박스 상단 $15,800까지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니켈 LME 시세 그래프
니켈 LME 시세 그래프


스텐 스크랩 가격 전망


수요 회복 불확실과 공급 과잉 문제로 스텐 스크랩 가격은 횡보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텐 시세 전망
스텐 시세 전망


고철 시세 전망


[철근 가격 전망과 고철 시세 전망]


1. 철근·형강 시장 동향


-봉형강 시장: 가격 인상 시도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부진해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냉랭한 상태입니다.


-판재류(열연/후판): 최근 2만 원 상승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국산 철근 가격:

제강사 직상: SD400, 10.0mm 기준 68만5000원

대리점 매장: 71만 원


-시장 상황:

1월 마감 가격은 70만 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설 연휴 이후 거래량이 부진해 가격 변동은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일본산은 67만5000원, 중국산은 67만 원 수준으로, 인상 시도는 있었지만 반영되지 않고 제자리걸음입니다.



2. 철근 가격 전망에 따른 고철 시세 전망


-수요 회복 여부가 관건:


철근·형강 거래 부진이 지속되면 철강업체들이 고철(스크랩) 구매 시에도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제강업계가 수급조절에 성공하여 재고가 소진되면 고철 가격은 약 1~2%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상승 요인:


현대제철의 반덤핑(AD) 제소 관련 예비판정 결과가 잇달아 발표되면, 국내 철강 시장에 긍정적 신호가 전달되어 재고 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고철 시세도 단기적으로 약 1.5~2% 정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재고 상황:


인천항 수입산 재고는 6만9000톤으로 작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7만 톤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2월과 3월 선적 계약이 미비한 점은 공급 측면의 긴축을 의미, 만약 국내 수요가 회복된다면 고철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철 시세 전망
고철 시세 전망



트럼프 관세로 더 예측하기 힘든 고철 비철 시세


그래플에서실시간 시세 정보를 받아 보세요.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