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플 | 2월17일 고철시세 LME 시세 동시세 구리시세 알루미늄시세 니켈시세 주석 시세 |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 grapplekr
- 2월 17일
- 3분 분량
비철금속 LME 시세 전망
2월 14일 비철금속 LME 시세는 중국 1월 신규 은행 대출이 전년 12월 대비 4배 증가해 추가 부양에 대한 기대감으로 장 초반 상승했지만, 미국 1월 소매 판매(전월 대비 -0.9% 감소, 예상치 -0.2% 감소)가 2024년 1월 이후 가장 크게 하락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비철금속 LME 시세는 상승폭을 반납했습니다.
비철금속 LME 시세 전망은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과 알루미늄 3월 12일 관세 그리고 상호 관세를 즉시 시행하기 않고, 4월 1일까지 협상을 통해 검토 후 시행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무역 전쟁 불안감이 축소되면서 비철금속 LME 시세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리 LME 시세 전망
2월 14일 구리 LME 시세는 -0.08% 하락한 $9,477로 마감했습니다.
구리 LME 시세는 트럼프 관세 협상 가능성, 미국 COMEX 구리 가격 상승, 중국 1월 신규 대출 증가 소식에 중국의 부양 기대감, 중국 구리 수요 회복으로 크게 상승했지만 미국 1월 소매 판매 부진으로 상승 폭을 반납했습니다.
현재 구리 LME 시세는 +0.32% 하락 중이며, $9,600을 목표로 단기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리 스크랩 가격 전망
동시세는 2월 10일 +200원 인상, 2월 12일 +100원 인상에 이어 2월 13일 +100원 인상되었습니다. 상호관세 협상 여지에 대한 기대감과 중국 추가 부양책 기대감으로 국내 동시세도 200-300원 추가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루미늄 LME 시세 전망
알루미늄 LME 시세는 +1.31% 상승한 $2,637로 마감했습니다.
알루미늄 LME 시세는 3월 12일 미국 수입 알루미늄 25% 관세가 협상 가능하다는 소식에 알루미늄 LME 시세는 상승했습니다. 중국의 알루미늄 공장 가동율이 크게 반등해 56.8%를 기록하면서 가격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알루미늄 LME 시세는 트럼프의 상호관세 유예 소식으로 +0.30% 상승 중이며 박스권 상단인 $2,670 돌파 시도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루미늄 스크랩 가격 전망
미국 수입 알루미늄 25% 관세가 협상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국내 알미늄 스크랩 가격 상승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니켈 LME 시세 전망
니켈 LME 시세는 +0.61% 상승해 $15,468로 마감했습니다.
니켈 광석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 이어 필리핀도 광석 수출 금지 정책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에 니켈 LME 시세는 공급 우려로 제한적 상승을 보였습니다. 중국 니켈 공급 과잉와 수요 부족, 재고 증가로 스테인리스 스틸 시장은 가격 하락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니켈 LME 시세는 -0.34% 하락 중이며 박스권 하단인 $15,400 지지를 받으며 횡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텐 스크랩 가격 전망
공급 과잉과 수요 부족 문제로 스텐 스크랩 가격은 횡보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석 LME 시세 전망
주석 LME 시세는 +2.13% 상승해 $32,662로 마감했습니다
주초에 콩고민주공화국(DRC)의 주석 광석 공급 중단 소식에 공급 문제 불안감과 3월 중국 최대 정치 행사 양회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3월 5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는 3월 4일부터 연례 회의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석 LME 시세가 연일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과도한 주석 시세 상승으로 현업자들의 구매가 약해져 주석 LME 시세는 상승세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철 시세 전망
[철근 가격 전망에 따른 고철 시세 전망]
-수요 회복 여부: 철근·형강 거래 부진이 지속되면 철강업체들이 고철 구매 시에도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제강업계가 수급 조절에 성공하여 재고를 소진하면 고철 가격은 약 1~2%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상승 요인: 현대제철의 반덤핑(AD) 제소 관련 예비 판정 결과 발표가 이어지면, 국내 철강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여 재고 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고철 시세도 단기적으로 약 1.5~2%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재고 상황: 인천항 수입산 재고는 6만 9,000톤으로 작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7만 톤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2월과 3월 선적 계약이 미비한 점은 공급 측면의 긴축을 의미하며, 만약 국내 수요가 회복된다면 고철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철 단기적 추가 인상: 겨울철 공급 부족에 따른 재고 확보 경쟁이 지속될 경우, 고철 시세는 현대제철의 인상 효과에 추가하여 단기적으로 1.5~2%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 관세로 예측하기 힘든 고철 비철 시세 변화.
'그래플 커뮤니티'에서 시세 정보를 받아 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