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산업통상자원부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 철강 산업 전망과 고철 시세 전망

  • 작성자 사진: grapplekr
    grapplekr
  • 2월 21일
  • 2분 분량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약 28%-38% 반덤핑 관세 부과하는 안을 의결해 한달 이내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입니다. 작년 중국산 철강 제품은 전체 수입량의 50% 차지하는 양입니다. 이번 관세 부과로 국내 철강 업체 시장 점유율 증가, 철강 제품 가격 상승과 이로 인해 고철 가격 상승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 철강 산업 전망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28%~38%의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면, 저가 중국 수입품과의 경쟁이 줄어들어 국내 철강 업체가 더 많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현대제철과 같은 국내 주요 생산업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 등 다른 국가의 수입품과의 경쟁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국내 업체는 가격 경쟁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한국 철강 산업의 전망은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철강 제품 가격


관세 부과로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의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자들은 국내 제품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 생산 능력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면, 철강 제품 가격은 안정적이거나 약간 상승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관세 후 중국 수입 가격이 국내 가격보다 높아지면, 국내 업체는 현재 가격을 유지하며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은 대체로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철 가격


관세로 인해 국내 철강 생산이 증가하면, 원자재 수요, 특히 고철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고철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고철 사용을 장려하고 있어, 수요 증가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상반기 고철 수입이 감소했지만, 2025년 생산 증가로 수요가 회복될 수 있습니다.




중국산 반덤핑 관세가 한국 철강 산업 전망에 미치는 영향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대한 관세 부과는 국내 철강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4년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877만 톤의 철강 제품을 수입했으며, 이는 전체 수입의 약 60%를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일본도 한국으로의 철강 수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24년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472만 톤으로, 중국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일본산 철강과의 경쟁은 여전히 존재하며, 국내 업체는 가격 경쟁력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글로벌 철강 수요는 2025년에 1.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한국 철강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뒷받침할 수 있습니



철강 제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


관세 부과로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의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자들은 국내 제품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국내 열간압연 후판 가격이 톤당 1000달러이고, 중국 수입 가격이 관세 전 800달러였다면, 30% 관세 후 중국 수입 가격은 1040달러로 상승합니다. 이는 국내 가격보다 높아지므로, 국내 제품의 경쟁력이 강화됩니다.



고철 가격에 미치는 영향


관세로 인해 국내 철강 생산이 증가하면, 원자재 수요, 특히 고철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철은 한국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2023년 6월 고철은 전략적 자원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고철 수입은 전년 대비 약 50% 감소했으며, 이는 하류 철강 시장의 약세로 인해 국내 제철소가 수입 대신 국내 자원을 활용했음을 보여줍니다.



표: 데이터 요약


중국산 반덤핑 관세 부과 시 철강 고철 영향
중국산 반덤핑 관세 부과 시 철강 고철 영향



결론


종합적으로,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대한 관세 부과는 한국 철강 산업의 전망을 개선하고, 철강 제품 가격은 안정적이거나 약간 상승하며, 고철 가격은 수요 증가로 인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국내 생산 능력, 국제 경쟁, 그리고 탈탄소화 전략에 기반한 분석 결과입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