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 스크랩 200·300·400계 차이와 스테인리스 316 구별 3가지 방법
- grapplekr
- 6월 12일
- 3분 분량
스테인리스 316 스크랩 구별법은 200·300·400계 스테인리스의 차이와 스테인리스 316만의 특징을 이해해 보고, 자석 테스트나 시약 반응으로 316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1. 스테인리스 계열별 분류와 특성
스테인리스강은 기본적으로 철(Fe)에 크롬(Cr)을 12% 이상 섞어 부식에 강하도록 만든 합금강이며, 여기에 니켈(Ni), 망간(Mn), 몰리브덴(Mo) 등을 추가해 용도별 성질을 다르게 합니다.
1) 200계 (저Ni·고Mn 오스테나이트)
조성: Ni 3.5–5.5%, Mn 5.5–7.5%, Cr 16–18%
특징: 300계와 유사한 내식성, 낮은 니켈 함량으로 비자성
용도: 가정용 주방기기·건축 외장재, 얇은 판재류
2) 300계 (고Ni 오스테나이트)
조성: Cr 16–18%, Ni 8–10.5%
특징: 우수한 내식성·내열성, 비자성
대표: 304 (Ni 8–10.5%), 316 (Ni 10–14%, Mo 2–3%)
용도: 화학·해양·제약 설비, 식품·의료기기
3) 400계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조성: Cr 11–18%, Ni 거의 없음
특징: 자성, 상대적으로 낮은 내식성
대표 등급: 410 (Cr 11–13.5%), 430 (Cr 16–18%)
용도: 자동차 배기·가전 부품, 내마모성 부품
2. 스테인리스 316 특징
스테인리스 316은 300계 중에서도 몰리브덴(Mo 2–3%) 첨가로 염화물 환경에서 내식성이 특히 뛰어난 특징이 있습니다.
Cr 16–18%, Ni 10–14%, Mo 2–3%
비자성 (오스테나이트 결정 구조)
용도: 해수·화학 플랜트, 고부식성 환경 부품
2-1. 스테인리스 316 계열 종류 및 특성
스테인리스 316 계열 스테인리스는 Cr, Ni, Mo를 주 합금원소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제품군입니다.
1) 316 (UNS S31600)
조성: Cr 16–18%, Ni 10–14%, Mo 2–3%
특성: 내식성·내열성 우수, 특히 염화물 환경에서의 내식성 강화
용도: 화학·제약·해양 설비 부품
2) 316L (UNS S31603)
조성: Cr 16–18%, Ni 10–14%, Mo 2–3%, C ≤0.03%
특성: 저탄소화로 용접 후 석출물 억제, 고내식성 유지
용도: 의료 기기, 식품·음료 설비, 용접 구조물
3) 316Ti (UNS S31635)
조성: Cr 17–19%, Ni 9–13%, Mo 2–3%, Ti 0.5% 이상
특성: Ti 안정화로 고온 가열 시 입계 석출 억제, 고온 내식성 강화
용도: 보일러 튜브, 터빈 부품
4) 316H (UNS S31609)
조성: Cr 16–18%, Ni 10–14%, Mo 2–3%, C 0.04–0.10%
특성: 고탄소화로 고온 크리프 저항성 우수
용도: 고온 압력 용기, 열교환기
2-2. 스테인리스 316 제품 형태
열연 코일 (Hot-Rolled Coil): 두꺼운 판재·구조용 코일(2.5~6.0mm)
냉연 코일 (Cold-Rolled Coil): 얇은 판재·가공성·표면 품질 우수(0.4~3.0mm)
후판 (Plate): 대형·두꺼운 구조용 판재(6.0~50mm)
파이프·튜브: 배관·열교환기용 이형 제품
2-3. 국내 스테인리스 생산 현황
생산업체 | 생산 공장 | 주요 316 제품 형태 | 용도 분야 |
포스코 | 포항·광양 | 열연·냉연 코일, 후판 | 화학·해양·플랜트 |
현대제철 | 당진 | 냉연 코일, 파이프 | 자동차·가전·건축 |
동국제강 | 인천·포항 | 후판, 구조용 코일 | 조선·토목·플랜트 |
세아베스틸 | 창원 | 후판(특수강 포함) | 방산·중장비·고내식 부품 |
이들 제강사는 글로벌 니켈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가동률 및 판매 전략을 조절하며 스테인리스 316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2-4. 스테인리스 316 스크랩 분류 및 등급 체계
스테인리스 316 제품 가공 뒤 발생하는 스크랩은 KS D 2101 철스크랩 분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스크랩 형태 | KS 등급 | 분류 기준 |
판재 스크랩 | 경량A (KB4) | 두께 ≤3.0mm, 길이·너비 제한 |
두꺼운 판재 | 중량A (KB1) | 두께 ≥6.0mm, 길이 ≤1,500mm, 너비 ≤600mm |
가공 칩(칩) | 선반A (KC1) | 칩 두께 ≥1.0mm, 오일·불순물 2% 이하 |
파편(잔재) | 슈레더A (KS1) | 가로·세로·높이 ≤100mm, 밀도 ≥55lb/ft³ |
경량A: 얇은 냉연코일·박판 스크랩
중량A: 두꺼운 열연코일·후판 스크랩
선반A: CNC·선반·프레스 가공 칩
슈레더A: 해체·파쇄 과정에서 발생한 파편류
3. 스테인리스 316 스크랩 구분 3가지 방법
1) 시각적·경험적 선별
200계 소비재(얇은 빨래 건조대·수저·식기류 등)는 표면이 과도하게 반짝이고 판재가 얇은 경향이 있음
300계 산업용 판재류는 두께·무게감이 있어 식별 용이
2) 자석 테스트
400계는 자석에 달라붙음(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계)
200·300계는 자석에 달라붙지 않음(오스테나이트 계)
*300계는 원래 자석에 붙지 않지만, 자성을 띠는 이유
300계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라는 자성이 없는 부드러운 금속 구조로 시작합니다. 그러나 금속을 크게 눌러 구부리거나(프레스 가공), 표면을 심하게 변형시키면 일부가 ‘마르텐사이트’라는 딱딱하고 자성을 띠는 조직으로 바뀝니다.
예를 들어, 얇은 강판을 슬리팅(좁게 자르는 작업)하거나 쉬어링(날로 깎는 작업)만 하면 금속 변형 양이 적어 마르텐사이트가 거의 생기지 않고 여전히 비자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반면, 절곡이나 프레스 가공처럼 금속 두께가 크게 달라지는 작업을 하면 변형량이 커져 마르텐사이트가 많이 만들어지고, 그 부위에만 자성이 나타나는 겁니다.
이 과정은 금속의 화학 성분이 바뀌는 게 아니라, 내부 원자 배열이 ‘오스테나이트→마르텐사이트’로 재배치되는 것으로, 녹“슬음”을 막는 크롬 피막(내식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단, 가공 부위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마르텐사이트 부위에 오염물질이 잘 달라붙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요약하면, 300계 스테인리스강이 가공 후 자성을 띠는 건 심한 냉간 변형으로 일부 조직이 자성을 가진 마르텐사이트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슬리팅·쉬어링처럼 변형이 작은 작업은 자성이 거의 생기지 않고, 절곡·프레스처럼 변형이 큰 작업일수록 자성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3) 몰리브덴 시약 테스트
Mo Spot Test: 시료에 질산 처리 후 암모니아수와 티오시안산나트륨 시약을 더하면, 몰리브덴이 있는 316만 적갈색 반응이 나타남
304·200계는 반응 없음 → 316 스크랩 선별
더 많은 실전 노하우와 스크랩 시세 정보는 그래플 커뮤니티에서 공유합니다!
[ 정보, 알림 받기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