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 304와 고철, 400계 스텐 스크랩 5가지 구별법
- grapplekr
- 6월 12일
- 2분 분량
현장에서 스테인리스 304와 고철, 400계 스테인리스을 구별하는 5가지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스테인리스 304 vs 고철·400계 스테인리스 구별법
1. 자석 테스트
고철: 자석에 강하게 붙는다.
400계 스테인리스: 자석에 강하게 붙는다.
304(300계) 스테인리스: 원래는 자석에 붙지 않지만,
절곡, 프레스, 용접 등 가공·열처리 부위에서는 약하게 자성이 생길 수 있음.
자석에 아주 약하게 붙거나, 특정 가공 부위만 붙으면 304(300계) 스텐일 가능성 높음.
전체적으로는 자석에 거의 붙지 않거나, 아주 약하게만 붙는다.
칼로 긁은 부위에 시약을 떨어뜨려보는 것도 추가 확인 방법.
따라서 304 보일러통·절곡부처럼 자석이 “살짝” 붙는 경우가 존재하며, 자성만으로 304/400계 판단은 위험하다.
2. 그라인더 불꽃 분류법
항목 | 300계(304) | 400계 | 일반 탄소강(고철) |
불꽃 길이·양 | 짧고 드물다 | 길고 밝다 | 가장 길고 풍부 |
색상 | 오렌지·노란색 위주 | 밝은 노란색 → 흰색 | 강한 오렌지·스파크 폭발 |
불꽃의 길이·분포·색을 보고 300 vs 400 vs 탄소강을 구별한다. 의심품은 불꽃·자석·시약을 모두 확인 후 성분분석기로 최종 확정.
3. 산소 절단으로 400계 분류법
400계는 Cr 16~23 % 함유, 일부 등급(SS446)은 23 %까지 올라간다.
크롬은 산소와 만나 두꺼운 Cr₂O₃ 산화막을 급속히 형성해 열이 모재 속으로 전달되지 않아 절단불꽃이 끊기고 절단면이 거칠다.
구리(Cu)까지 포함된 등급은 열전도율이 높아 열이 확산돼 절단이 더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일반 용접·산소 절단 장비로는 400계가 탄소강보다 절단 난이도가 높다.
4. 추가 참고
생활용품(숟가락 등)은 손잡이와 입대는 곳에 자성 차이가 있을 수 있음.
해당 물건의 용도(어디에 쓰던 부품인지)를 참고하면 스테인리스 분류가 더 정확.
5.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스크랩 특징
22~26 % Cr, 4~6 % Ni, 0.1~0.3 % N의 2상(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구조.
자성이 400계보다 약간 약하지만 300계보다 강함 → 자석 테스트만으로는 400계와 혼동 가능.
내식성·강도가 높아 스테인리스 스크랩 단가가 300계(304)보다 톤당 2,000원 이상 높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핵심만 기억하기
자석: 304는 원래 안 붙지만 가공 부위는 약자성, 400·고철은 강자성.
불꽃: 400계 불꽃이 304보다 길고 밝다.
듀플렉스: 자성은 400계 수준, 단가는 300계보다 높음.
400계 절단: Cr 산화막 때문에 산소 절단이 힘들다.
불확실할 땐 칼로 긁은 뒤 시약 테스트, 성분분석기 활용
위 방법으로 현장에서 304, 400, 듀플렉스, 고철을 안정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