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비철금속 시장 동향: 인플레이션 완화에 구리 상승, 알루미늄 공급 우려로 폭등, 니켈 8일 연속 상승세 주춤
- grapplekr
- 1월 16일
- 2분 분량
비철금속 시장 동향 :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미국 경제 지표
미국 12월 소비자 물가 지수(CPI)가 예상치에 부합하며 전년 대비 2.9% 기록하였고, 근원 소비자 물가 지수가 3.2%로 예상치 보다 0.1% 하회하여 인플레이션 완화 시그널을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 인덱스 소폭 하락, 미 10년물 국채 금리가 4.66선으로 하락해 비철금속 가격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LME 구리 시세
LME 비철금속 시장 동향에서 구리 시세는 +0.69% 상승해 $9,217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12월 긍정적 경제 지표(PPI, CPI)와 함께 중국 국가전력망공사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건설에 890억 달러 투자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LME 알루미늄 시세
LME 비철금속 시장 동향에서 알루미늄 시세는 +1.72% 상승해 $2,604로 마감했습니다.
상승 이유
1. 유럽의 2월부터 러시아산 일차 알루미늄(primary aluminum) 수입 금지 검토에 상승
유럽은 기존 러시아산 알루미늄 제품 수입 금지에 이어 러시아산 일차 알루미늄(제련소에서 생산된 알루미늄 금속) 수입을 해왔지만 이번에 금지 검토로 인해 공급 우려로 알루미늄은 상승했습니다.
2024년 영국과 미국은 러시아산 일차 알루미늄 수입을 금지해온 상황에서 유럽도 동참한 상태입니다. 또한 중국 알루미늄 산업의 용량이 연간 4,500만 톤의 생산 능력 제한에 거의 도달하면서 올해 생산 증가율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공급 우려 불안감이 더해졌습니다.
하지만 유럽의 러시아산 수입 비율은 러-우 전쟁 이후 계속 줄어들어 현재 전체 수입에서 6%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수입 금지 영향은 공급에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가격 상승도 단기적인 영향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2. 원유가 계절적 수요와 미국의 원유 재고 감소로 유가가 상승해 알루미늄 가격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습니다.


LME 니켈 시세
LME 비철금속 시장 동향에서 니켈 시세는 -0.19% 하락해 $15,820로 마감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니켈 가격 상승을 위해 2025년 원광 생산 쿼터를 전년 대비 17% 감축하면서 8일 연속 니켈이 상승하였지만 캐나다의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 니켈 생산이 전년 대비 13.1% 상승하며 하락했습니다.


동 스크랩 포지션

장기 가격 방향성 (약상방 1단계) : 미국의 12월 소비자 물가 지수 상승 둔화로 1월 금리는 동결할 가능성이 크지만, 연내 금리 인하 1회에서 2회로 기대감이 생긴 상태이며 연준 1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 관련 발언이 주목되는 상황입니다.
단기 가격 방향성 (약상방 2단계): 미국 물가 지수 (PPI, CPI)가 모두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상승 기류가 유지되지만 여전히 강달러로 상승 폭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고 포지션 (약출고 3단계): 단기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상태이며 트럼프 취임식 때 트럼프의 관세 관련 발언 여부가 불확실성으로 남아 있습니다.
실시간 LME 비철금속 가격, 이슈 분석과 스크랩 매도 및 매수 타이밍 정보를 그래플 커뮤니티에서 무료로 받아 보세요.

댓글